무언가 만들기 위한 지식/Action Script

ActionScript 기초적 사용

신럭키 2010. 2. 22. 13:07
□ 액션스크립트 코드는 타임라인의 플레이헤드가 해당 프레임에 위치할때 그 프레임 안에 들어있는 코드를 실행한다.
□ 또한 이벤트가 발생할때 액션스크립트 코드가 실행되는 이벤트 기반의 코드 실행 기능이 있음.(비동기적실행.)

이 두가지를 결합하여 플래시내 무비들이 상호작용하여 실행된다.
※플래쉬에서는 움직이는 단위를 movie라고 한다. 그리고 무비의 가장 큰 단위는 scene이라고 한다. 액션스크립트는 무비단위로 애니메이션을 조정하게된다. 무비별로 계층(depth)별로 나뉘어져있다. 포토샾이나 html의 Layer개념이다.

플래쉬에서는 다양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두가지 방법을 제공한다.

첫번째는 버튼이나 무비클립을 대상으로

ex) on(release){~~~~  } or onClipEvent(enterframe){~~~~~}

이런 형식으로 사용하는 이벤트 핸들러

두번째는 프레임을 대상으로

ex) Movie.onRelease=function(){........} or Movie.onEnterFrame=function(){.....}

이런 형식으로 사용하는 이벤트 핸들러 메소드이다.

두번째의 경우 플래쉬MX버전부터 추가되었는데 프레임에서 작성하여 이벤트를 중심으로 코드를 관리하고 실행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.
나 같은 경우에도 두번째 경우를 주로 사용한다. 첫번째의 경우는 일일이 무비클립을 찍어줘서 F9를 눌러 스크립트창을 눌러줘야하는 불편함이있고 번갈아가면서 봐야할때 특히 귀찮다...아니 불편하다 ~


※ 무비클립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Instance Name을 사용하여 접근한다. 해당 무비클립마다 하단부 왼쪽에 있는 부분에서 무비클립 이름을 정해놓을 수 있다. 그 이름으로 액션스크립트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.

※ 각 무비클립마다 레이어개념이 있는데 한 계층에서는 두개가 존재할 수 없다. 층이 높을 수록 상단부분에 출력된다(즉 앞으로 나온다.) 최저 즉 처음 시작한 부분은 층이 0이고 "_root"라는 명령어를 통해 접근한다. 층은 "level"로 표시한다.

※ 무비클립에 접근하는 방법 : "_root"를 시작으로 "."을 통하여 다음 level계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.
    ex) _root.abcd.asdf  -> 처음을 기준으로 그 위에 있는 abcd클립에 접근후 abcd내에 있는 asdf클립에 접근한다.
접근후에는 다양한 버튼이벤트나 클립이벤트, 각변수등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.